환경경영
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현해 나갑니다.
기업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모든 사업 활동의 기반이 되는 환경을 보호해야 할 기본적인 책임이 있습니다.
예스코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그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, 물 부족 등 환경 이슈로 부터 지속가능한 인류의 터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예스코는 CEO(Chief Executive Officer)를 환경경영과 관련된 주요 사안의 최고 책임자로 지정하여 환경경영을 위한 전략 및 과제 수립등의 주요사안에 대해 결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
환경 경영 관련 성과 모니터링 및 결과는 기획재경부문장 주관하에 ESG총괄에게 보고하고 있으며, 모니터링을 통해 도출된 Risk는 경영기획팀을 통해 조치하고 있습니다.
구분 | 재무적 영향 | 대응 전략 | |
---|---|---|---|
리스크 | 기후변화리스크 탄소중릭 전환 및 정책 리스크 자원순환(폐기물) 리스크 |
이상기후로 가스사용량 변화에 따른 수익성 변동 심화 탄소규제 강화로 준수 비용 증가 폐기물 처리비용 증가 등 운영비 상승 |
최신 가스사용량 패턴에 따른 사업계획 수립 및 수익성 방어 노력 ESG정책에 따른 탄소배출 최소화 및 바이오플랜트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강화, 친환경 업무문화 구축 |
기회요인 | 친환경 투자 확대 기회 에너지/자원 효율화 기회 친환경 업무문화 전환 기회 친환경 기업 이미지 제고 |
녹색산업 투자 기회를 통해 신규 수익 창출 에너지소비 절감으로 운영비 감축 소모품 감소, 비대면 업무처리로 비용 감축 친환경 경영으로 브랜드 가치 상승 |
바이오메탄 회수시설, 수소충전소 등 친환경 투자 추진 검토 전기절감 정책, 일회성 소모품 감축 등 탄소배출 최소화 전자결제, 일회용 물품 사용제한, IoT/모바일기기 활용 등 친환경 사업 홍보를 통해 친환경 기업이미지 구축 및 사업기회 발굴 |
1. 주요 법령 및 대응 전략
법령 | 주요내용 | 예스코 대응 |
---|---|---|
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, 녹색성장 기본법 | 2050 탄소중립 달성, 온실가스 감축 | 탄소배출량 모니터링 바이오플랜트를 통한 온실가스 회수 친환경 전기차 충전설비 운영 탄소중립 이행 검토 |
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| 폐기물 분리배출 및 재활용 활성화 | Zero Waste 목표 설정 재활용된 인증계량기 사용 통해 자원절약 사무실 내 일회용 컵 등 일회용품 사용 제한 |
2. 관리 체계
조직 | 주요 역할 설명 |
---|---|
ESG총괄 기획재경부문장 경영기획팀 |
환경법 대응 최종 의사결정 환경경영 총괄 책임자, 법규대응 총괄 주요 환경 관련 법령의 모니터링 및 대응 점검 |
3. 환경법규 준수 실적
예스코는 「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·녹색성장 기본법」, 「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」 등 주요 환경 법령을 준수하며, 사무실 차원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또한, 환경관련 이슈가 발생할 경우 사내 게시판을 통해 전 직원에게 공유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2024년에도 환경 법규 위반 0건을 달성하였습니다. 앞으로도 철저히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위반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구분 | 단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비고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온실가스 | 배출량 | Scope 1 SCope2 |
tCO₂eq tCO₂eq |
244 1,602 |
259 1,586 |
264 1,532 |
|
합계 | tCO₂eq | 1,846 | 1,845 | 1,796 | |||
온실가스 집약도 | tCO₂eq/억원 | 0.2 | 0.2 | 0.2 | 범위:Scope1+Scope2, 별도 매출액 기준 |
* Data 범위 : 본사, 지사, 바이오플랜트
(단위 : tCO₂eq)
구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---|
바이오메탄 플랜트 온실가스 감축량 | 6,618 | 7,099 | 5,992 |
(*) 2024년도 분은 인증전 추정량
구분 | 단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온실가스 | 전력 사용량 연료 사용량 |
Tj Tj |
32.3 3.6 |
32.0 3.8 |
30.9 3.9 |
휘발유,경유 |
에너지 사용량 합계 | Tj | 35.9 | 35.9 | 34.8 | ||
에너지 집약도 | Tj/억 원 | 0.003 | 0.003 | 0.003 | ||
재생에너지 사용량 | Tj | - | - | - |
* Data 범위 : 본사, 지사, 바이오플랜트
본 지침은 친환경,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구매원칙을 수립함으로써 환경경영을 실천하고, 이해 관계자에게 당사의 ESG 경영의지를 알리는것을 목적으로 한다.
예스코 임직원에게 적용되며, 협력사에도 본 지침의 준수를 권장함
친환경 구매 : 제품의 생산, 유통, 폐기 전 과정에서 환경부하를 고려하여
친환경적으로 조달하는 구매 행위를 의미한다.
녹색제품 : 환경표지, 우수재활용(GR) 인증 등 정부공인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
또는 이에 준하는 친환경성을 가진 제품을 의미한다.
① 임직원은 업무용 물품 구매 시 친환경 인증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노력한다.
② 적합한 녹색제품이 없는 경우, 재활용 재료사용 여부, 에너지 효률, 유해물질 함유
여부 등을 고려하여 환경영향이 적은 대안을 선택한다.
③ 불필요한 일회용품 구매를 지양하고, 제품 구매 시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
협력사와 협의한다.
임직원은 본 지침을 숙지하고, 친환경 구매에 적극 동참한다.
당사는 협력사에도 친환경 구매를 위한 노력에 동침할 것을 권장하며,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는 협력사를 우대한다.
본 지침은 자율적인 실행을 촉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며, 별도의 강제력이나 정략적 목표를 수반하지 않는다.